전자납부번호로 세금이나 과태료를 제때 납부하지 않으면 연체료(가산금, 가산이자)가 부과됩니다. 2025년 기준, 항목별로 달라지는 연체 이자율과 연체료 계산 공식을 아래에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함께보면 좋은 정보
1. 전자납부번호 미납 시 부과되는 연체료 종류
- 가산금: 최초 납부 기한 경과 시 1회 부과
- 중가산금(가산이자): 일정 기간이 지나도 미납 시 매월 추가 부과
- 지방세·국세·과태료마다 적용 방식과 세율이 다름
2. 항목별 연체료 계산 기준 (2025년)
항목 | 가산금 | 가산이자 | 최대 부과율 |
---|---|---|---|
국세 (소득세, 부가세 등) | 3% | 연 9.125% (하루당 0.025%) | 납기일 경과 후 최대 5년간 |
지방세 (자동차세, 재산세 등) | 3% | 월 0.75%씩 60개월간 | 총 45% 한도 |
과태료 | 5% | 매월 1.2%씩 최대 75% | 1년 이상 미납 시 압류 가능 |
3. 연체료 계산 예시
- 납부금액: 100,000원
- 납기 초과일: 30일
[국세] → 가산금: 100,000 × 3% = 3,000원 → 가산이자: 100,000 × 0.025% × 30일 = 750원 → 총 납부금액: 103,750원
[과태료] → 가산금: 5,000원 → 중가산금(1.2%): 약 1,200원 → 총 납부금액: 약 106,200원
4. 연체 방지 꿀팁
- 전자고지 문자 설정 → 납기일 자동 알림
- 납기일 오전 9~16시 내 납부해야 당일 반영
- 주말 납부는 익일 처리되어 연체 가능성 있음
아래에서 자동이체 또는 납부알림 서비스 설정법도 확인하세요!
납부알림서비스는 연체 방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
연체료는 하루 단위로 계산되어 실제 납부금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기한 내 정확하게 납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함께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