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납부번호 지방세와 국세 차이점 | 납부 방식 및 사이트 안내

전자납부번호지방세국세 모두 납부할 수 있지만, 납부 방법, 담당 기관, 이용 사이트가 다릅니다. 혼동하기 쉬운 두 세목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해드리며, 납부 시 실수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사이트별 이용법도 안내합니다.

1. 국세 vs 지방세 기본 개념

구분 국세 지방세
소관 기관 국세청 지방자치단체
납부 사이트 홈택스 위택스
주요 항목 종합소득세, 부가세, 원천세 자동차세, 재산세, 주민세
고지 시기 신고 후 납부 정기 고지 (3월, 6월, 9월 등)

2. 납부 방식 차이

  • 국세: 홈택스에서 신고 후 납부하는 구조
  • 지방세: 위택스에서 고지된 항목 납부
  • 두 항목 모두 전자납부번호 입력으로 모바일·PC에서 납부 가능

3. 납부 가능한 경로 요약

구분 PC 모바일
국세 홈택스 손택스 삼성페이, 페이코 일부 지원
지방세 위택스 위택스 모바일웹 모바일지로, 토스, 네이버페이 등

4. 납부 내역 확인 사이트

  • 국세: 홈택스 → [My홈택스] → [납부내역 조회]
  • 지방세: 위택스 → [My위택스] → [지방세 납부조회]

아래에서 국세와 지방세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팁도 확인하세요!

세금통합납부방법을 통해 통합납부 앱 및 자동이체 활용법 확인

정리하면, 국세는 홈택스에서 신고 후 납부하는 방식이고, 지방세는 위택스에서 고지서 기반으로 납부합니다. 전자납부번호는 각각의 시스템에 맞게 입력해야 오류 없이 처리됩니다.

인기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