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자동이체 설정은 매달 반복되는 납부를 인터넷뱅킹 또는 앱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2025년 기준 자동이체 등록 방법과 주의사항, 성공률 높은 설정 팁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정보
목차
1. 자동이체란 무엇인가요?
자동이체는 특정일마다 지정 계좌에서 자동으로 금액을 이체하는 서비스입니다. 공과금, 보험료, 정기 후원금 등 반복되는 지출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정기 자동이체: 매월, 격월 등 주기 설정 가능
- 예약이체: 특정일 1회 이체 후 종료
- CMS 자동이체: 기관이 출금 요청
2. 인터넷뱅킹으로 자동이체 등록하는 법
2025년 기준, 대부분의 은행 인터넷뱅킹에서는 아래 방법으로 자동이체 등록이 가능합니다.
- 인터넷뱅킹 로그인
- 이체 → 자동이체 등록 메뉴 선택
- 출금 계좌, 수취 계좌, 이체 금액 입력
- 이체 주기 및 시작일 설정
- 공동인증서 또는 OTP로 확인
등록이 완료되면 ‘자동이체 목록’에서 상태 및 내역 확인이 가능합니다.
3. 모바일 앱으로 자동이체 등록하기
은행 앱에서도 간단히 자동이체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앱 로그인 → 이체 → 자동이체 메뉴
- 출금/입금 계좌 선택 후 금액, 주기 설정
- 앱 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증으로 완료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은행마다 명칭이 다를 수 있어 “자동이체”, “예약이체”, “정기이체” 메뉴를 참고하세요.
인터넷뱅킹 앱 추천4. 은행별 자동이체 등록 경로 비교
은행 | 앱 메뉴명 | 인증 방식 | 이체 한도 |
---|---|---|---|
카카오뱅크 | 이체 > 자동이체 | 앱 비밀번호 | 1일 최대 1,000만 원 |
신한은행 | 이체 > 정기이체 등록 | 공동인증서 / Face ID | 1일 최대 2,000만 원 |
하나은행 | 자동이체 등록 | OTP + 비밀번호 | 계좌 설정에 따름 |
우리은행 | 이체 > 자동이체 신청 | 간편인증 / 공동인증서 | 1일 최대 3,000만 원 |
농협은행 | 자동이체 메뉴 | 공동인증서 | 1일 최대 1,500만 원 |
5. 자동이체 등록 시 주의사항
다음 사항을 반드시 체크해야 이체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출금 계좌 잔액 부족 시 이체 실패
- 수취 계좌 폐쇄 또는 정지 시 자동 해지
- 변경된 계좌번호는 수동으로 수정 필요
자동이체 설정 후 최초 이체일 전에 정상 등록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6. 자동이체 해지 및 변경 방법
자동이체를 해지하거나 금액/주기 변경하려면 다음 절차를 따르면 됩니다.
- 앱 또는 인터넷뱅킹 로그인
- 자동이체 관리 → 해당 항목 선택
- ‘해지’ 또는 ‘수정’ 버튼 클릭
- OTP 또는 인증서 확인 후 완료
자동이체 해지 방법을 알아두면 향후 불필요한 이체 방지도 가능합니다.
함께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