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연결 오류는 와이파이 연결됨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안됨 메시지가 나올 때 발생하며, 공유기, DNS, 기기 설정 등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2025년 기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인터넷 연결 오류 해결 방법을 정리해 안내드립니다.
함께보면 좋은 정보
목차
1. 공유기 재부팅으로 기본 오류 해결
와이파이는 연결되지만 인터넷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공유기 자체 오류일 수 있습니다.
- 공유기 전원 OFF → 10초 후 다시 ON
- 랜선 연결 확인 (WAN, LAN 모두)
- 인터넷 모뎀과 공유기 모두 재부팅
재부팅 후 2~3분 기다렸다가 인터넷을 재접속해 보세요.
2. DNS 오류 수동 설정으로 해결
‘인터넷 없음’ 또는 ‘DNS 서버 응답 없음’ 오류는 DNS 설정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목 | 추천 값 |
---|---|
기본 DNS | 8.8.8.8 (Google) |
보조 DNS | 1.1.1.1 (Cloudflare) |
PC: 네트워크 어댑터 → 속성 → TCP/IPv4 → 수동 설정
3. IP 주소 갱신으로 연결 복구
IP 충돌 또는 자동 할당 오류로 인해 인터넷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
- Windows: 명령 프롬프트 실행 →
ipconfig /release
→ipconfig /renew
- Mac: 네트워크 설정 → 고급 → DHCP 임대 갱신
- 모바일: 와이파이 연결 해제 후 재연결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4. 장치별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기기 자체 설정 문제로 접속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초기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설정 > 네트워크 초기화
- iOS: 설정 > 일반 > 전송 또는 재설정 > 네트워크 설정 재설정
- Android: 설정 > 연결 > Wi-Fi > 저장된 네트워크 삭제 후 재연결
초기화 후에는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해야 합니다.
5. 인터넷 장애 확인 및 고객센터 문의
모든 설정이 정상인데도 연결되지 않을 경우, 인터넷 회선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KT: 100번 / LGU+: 101번 / SKB: 106번 문의
-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실시간 장애 여부 확인
- 지역 단위 장애일 경우 기사 방문 요청
가정용 인터넷 장애는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신속하게 해결 가능합니다.
장애 문의 전, 최소한 한 번은 공유기 재부팅을 시도해보세요.
함께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