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파일 열리지 않을 때 ‘손상된 파일’ 메시지가 뜨거나, 파일 자체가 실행되지 않는 오류는 흔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본문에서는 2025년 기준 윈도우에서 엑셀 파일이 열리지 않을 때 적용할 수 있는 5가지 해결법을 정리합니다.
함께보면 좋은 정보
목차
1. 엑셀 ‘손상된 파일’ 메시지 해결 방법
엑셀 실행 시 “파일이 손상되어 열 수 없습니다”라는 경고가 뜨는 경우, 아래 방법으로 복구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엑셀 열기 > 파일 선택 > ‘열기’ 옆 ▼ 클릭 > ‘열기 및 복구’ 선택
- 복구 시도 후 실패할 경우 ‘데이터 추출’ 옵션 선택
파일 자체가 아닌 엑셀 설정 문제인 경우도 많으므로, 아래 항목도 함께 점검하세요.
2. 엑셀 안전모드 실행으로 열기
엑셀 자체의 오류로 파일이 열리지 않는 경우, 안전모드에서 실행 시 정상 열릴 수 있습니다.
- Windows 키 + R →
excel /safe
입력 - 엑셀이 안전모드로 실행되면 → 파일 → 열기
- 이후 정상 열리면 → 추가 기능/서식 문제 확인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3. 파일 확장자 오류 점검
파일 확장자가 잘못 변경된 경우, 엑셀이 파일을 인식하지 못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상 확장자 | 의심 확장자 |
---|---|
.xlsx, .xls | .tmp, .xls~ 또는 .zip |
파일 우클릭 → 이름 바꾸기 → .xlsx로 확장자 변경 후 다시 열기
4. 복사본 만들기 및 새 파일로 붙여넣기
파일이 열리지 않더라도 일부 데이터는 백업 가능합니다.
- 문제가 되는 파일 복사 → 이름 변경
- 엑셀 새 파일 생성 → 복사본 삽입 시도
- 내용 일부만 보일 경우, VBA 코드/서식 문제 가능성
매크로가 많은 경우, VBA 코드 제거 후 열기 권장
5. 오피스 복구 기능 활용
엑셀 자체 오류일 경우, 오피스 프로그램 복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 Microsoft Office 선택
- ‘변경’ 클릭 → 빠른 복구 또는 온라인 복구 선택
- 복구 후 파일 재실행
기본 설정 오류로 인해 엑셀 파일이 손상됐다는 오탐이 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복구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며, 설치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함께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