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납부번호를 활용한 납부 방법을 찾고 계신가요? 농협, 국민은행, 토스, 인터넷뱅킹 등 다양한 채널에서 전자납부번호 납부가 가능한 2025년 기준 TOP5 가이드를 정리했습니다. 은행 앱이나 웹사이트를 통한 납부 절차를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함께보면 좋은 정보
목차
1. 농협 NH뱅킹 앱 전자납부번호 납부
- NH스마트뱅킹 앱 실행
- [지로/공과금 납부] 메뉴 선택
- 전자납부번호 13자리 입력
- 납부 정보 확인 및 비밀번호 입력
- 납부 완료 확인
간편하게 납부 후 납부내역도 조회 가능합니다.
농협전자납부는 농업인들도 많이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2. 국민은행 KB스타뱅킹 앱 이용
- 앱 실행 후 메뉴 진입
- 공과금 > 전자납부번호 납부
- 13자리 번호 입력
- 자동으로 납부대상 불러오기
- 승인 및 납부 완료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며 빠른 납부가 가능합니다.
국민은행공과금 납부 시에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됩니다.
3. 토스(Toss) 간편납부 방법
- 토스 앱 실행
- [납부하기] 또는 [지로] 메뉴 선택
- 전자납부번호 입력 (지로/세금 고지서 가능)
- 납부정보 확인 후 지문 또는 비밀번호 인증
카카오페이처럼 간편하지만 일부 고지서만 가능하므로 대상 확인 필수
토스전자납부는 카드납부도 가능해 편리성이 높습니다.
4. 인터넷뱅킹(PC 웹)으로 납부하기
- 은행 홈페이지 접속
- 공과금 납부 메뉴 선택
- 전자납부번호 입력 후 조회
- 납부 대상 및 금액 확인
- 보안카드 또는 OTP 인증 후 납부
대부분의 은행에서 동일하게 지원되며, 직장인들이 주로 이용
인터넷뱅킹납부는 시간이 넉넉할 때 유용합니다.
5. 위택스/이택스 사이트 이용
- 지방세 : 위택스 (wetax.go.kr)
- 서울시 세금 : 이택스 (etax.seoul.go.kr)
- 사이트 접속 > 전자납부번호 입력
- 금액 확인 후 납부 진행
지방세 및 서울시 세금 납부 시 자주 이용되는 채널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한 납부사이트 이용법을 확인하세요!
지방세납부사이트를 통해 추가 기능도 확인 가능합니다.
위택스는 크롬 브라우저에서 가장 원활하게 작동하므로 인터넷 환경도 체크하세요.
함께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