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납부번호 납부 방법 정리 | 2025년 최신 은행, 모바일, 카드별 비교

전자납부번호로 세금과 공과금을 납부하는 방법을 찾고 계신가요? 2025년 기준, 은행, 모바일, 카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납부가 가능하며, 각 방법에 따라 수수료·처리 시간·지원 항목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전자납부번호 사용법을 은행·앱·카드 납부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전자납부번호란?

세금, 과태료, 건강보험료, 고속도로 통행료 등의 납부 고지서에 기재된 고유 번호로, 이 번호를 통해 전국 어디서나 납부가 가능합니다. 보통 13~14자리 숫자이며, 위택스·홈택스·지로·은행 앱 등에서 입력하여 납부합니다.

2. 납부 수단별 비교표

구분 납부 경로 수수료 반영 시간 지원 항목
은행 앱 KB, 신한, 우리 등 → 공과금 메뉴 무료 당일 반영 세금, 과태료, 건강보험료
위택스 wetax.go.kr 무료 (카드 납부 시 수수료) 1시간 내 반영 지방세, 자동차세, 주민세
홈택스 hometax.go.kr 무료 당일 반영 국세 (소득세, 부가세 등)
모바일지로 앱 실행 → 납부번호 입력 무료 (카드 선택 시 수수료) 1시간 내 반영 세금, 보험료, 통행료 등
카드사 앱 삼성페이, 페이코, 네이버페이 0.7~1.0% 수수료 당일~익일 반영 지방세, 공공요금 등 일부

3. 은행 앱 납부 방법

  1. 은행 앱 실행 → [공과금 납부] 메뉴
  2. [전자납부번호 납부] 선택
  3. 13~14자리 번호 입력 → 납부 금액 확인
  4. 계좌 인증 또는 비밀번호 입력 후 납부 완료

계좌이체는 수수료가 없으며, 대부분 실시간 반영

4. 위택스 / 홈택스 이용 방법

  • 위택스: 지방세 항목(재산세, 주민세, 자동차세)
  • 홈택스: 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 원천세 등 국세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 필요
  • [납부번호 납부] → 번호 입력 → 결제

위택스전자납부는 지방세 전용 포털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5. 모바일 앱 납부 꿀팁

  • 모바일지로: 모든 공과금 통합 납부 가능
  • 토스/네이버페이/삼성페이: 고지서 연동 시 자동 납부 가능
  • 카드 등록 시 빠른 결제 가능하지만 수수료 확인 필요

아래에서 전자납부번호 입력 오류 방지 팁도 확인하세요!

전자납부번호오류로 납부 실패를 방지하세요.

납부 시 전자납부번호를 잘못 입력하면 타인의 세금을 대신 납부할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 후 결제하세요.

인기게시물